고고사리 서비스 바로가기
배경(Problem)
1.
서비스 배경
•
제주도 고사리 채집 문화
제주도에서는 매년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자연산 고사리를 채집하기 위해 오름과 들을 찾는 대표적인 채집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2.
문제 인식
매년 고사리를 채집하려는 사람들은 늘어나고 있지만, 고사리 채집 스팟 정보 부족과 사유지 출입 문제, 길 잃음 사고 위험으로 인해 고사리 채집 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3.
해결 방안
→ 제주도 내 고사리 채집 스팟 정보 공유 서비스를 기획하자!
공유경제 모델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이 직접 채집 스팟 정보를 제공하고,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지도를 통해 누구나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채집할 수 있도록 고사리 채집 스팟 정보 공유 서비스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4.
기대효과
•
일부 인기 채집 스팟 정보 유료화
•
지역 사회와 연계한 홍보 및 광고 진행
•
고사리 판매점 및 로컬 농가 홍보 지원
서비스 소개(Solution)
•
프로젝트 목표(Project Goal)
◦
제주도 내에서 안전하게 고사리를 채집할 수 있도록, 채집 가능 지역과 출입 가능 여부를 제공하는 고사리 스팟 정보 서비스 제공
•
핵심 목표
◦
실시간 지도 기반으로 고사리 채집 가능 지역을 제공하고, 사용자 참여형 데이터를 활용해 최신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합니다.
•
서비스 기능 소개
•
온보딩 화면
◦
온보딩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채집 스타일을 파악하고 맞춤형 스팟을 추천을 받을 수 있도록, 간단한 심리 테스트를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채집 스타일(초보/숙련자/탐험형 등)을 분석하여, 맞춤형 고사리 채집 스팟을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
홈화면
◦
홈화면에서는 실시간 지도 기반으로 고사리 채집 가능 지역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사용자는 지도에서 바로 내 주변의 고사리 스팟을 찾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채집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위치 제보 화면
◦
위치 제보 화면에서는 자신이 발견한 고사리 채집 스팟을 제보하고, 실시간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직접 고사리를 발견한 위치를 지도에서 선택하여 채집 상세 정보를 함께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 채집왕 화면
◦
커뮤니티와 채집왕 화면에서는 사용자들이 채집 정보를 공유하며 인기 스팟과 채집 꿀팁을 확인하고, 다양한 챌린지에 참여하여 고사리 채집을 더욱더 재밌게 즐길 수 있습니다.
서비스 시연 영상
핵심 기능
디자인 시스템
•
디자인 시스템
◦
웹 개발 환경에 최적화된 균일한 요소와 간격을 활용하여, 일관된 디자인을 구축하기 위해 디자인 시스템을 정리했습니다.
업무 프로세스
•
업무 프로세스
◦
각 분야(기획, 디자인, 개발) 간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과 최적화를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서비스를 완성했습니다.
팀 소개
김지엽 | Product Manager (Data Scientist)
• 이메일: samajeju@naver.com
• 링크드인: www.linkedin.com
• 인스타그램:
Instagram (@jeop_story)

• 데이터사이언스 포트폴리오:
여수향 | Backend Develo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