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Block: 숨겨진 제주를 찾는 AR 로컬 탐험 플랫폼
제주어 ‘곱을락(숨바꼭질)’에서 착안한 이름.
이제 제주의 숨겨진 곳들을 직접 걷고, 찾고, 기억하는 여정이 시작됩니다.
GoBlock은 단순 관광 정보 제공 앱이 아닙니다.
사용자가 직접 제주의 숨은 공간을 탐험하고, 그 여정을 기록하며, 보상받는 몰입형 AR 기반 관광 플랫폼입니다.
배경 (Problem)
숨겨진 제주, 걷고 찾고 기억하다
#JEJU #스마트관광 #지속가능성 #지역활성화
제주는 연간 1천만 명이 넘는 관광객이 방문하는 대한민국 대표 관광지입니다. 하지만 이 수치 이면에는 지역 간 관광 집중도의 불균형이라는 문제가 존재합니다.
데이터로 보는 현실
•
2025년 SKT 기지국 데이터 및 제주특별자치도 도시 쇠퇴 분석에 따르면
➤ 제주시 24개 동/읍/면 중 12개
➤ 서귀포시 17개 중 9개 지역이 쇠퇴 지역 기준을 충족했습니다.
•
이는 전체 지역의 절반 이상이 관광 소비로부터 소외되고 있음을 뜻합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
•
MZ세대를 포함한 대부분의 여행자는 SNS에서 본 콘텐츠를 기반으로 관광지를 선택합니다.
•
결과적으로 인기 장소만 반복적으로 소비되고, 새로운 공간은 자연스럽게 외면당합니다.
•
탐색 구조의 단조로움이 ‘숨겨진 제주’의 발견을 방해하는 원인입니다.
서비스 소개 (Solution)
핵심 키워드
스마트 관광
→ AR 기술과 GPS를 활용한 콘텐츠 제공
지속 가능성
→ 과밀 방지를 위한 지역 분산 루트 설계
지역 활성화
→ 소외 지역에 ‘탐험’이라는 의미 부여
서비스 흐름
① 추천 루트 선택 (지도 생성하기)
•
사용자는 "새 미션 등록"을 통해 원하는 주제를 선택합니다.
예) 땅콩 올레, 한라봉 올레, 구름 올레
•
각 루트는 숨은 마을과 골목을 연결하며,
사용자 위치와 선호 기반으로 개인화된 루트 추천도 가능합니다.
② GPS 기반 미션 수행
•
지도를 따라 도보 탐험을 진행
•
특정 위치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AR 콘텐츠 활성화
•
콘텐츠 예시: 고유 캐릭터, 지역 상징물, 사진 프레임 등
•
사용자는 사진을 찍고 미션 인증!
③ 스탬프 획득 및 기록 아카이빙
•
모든 AR 포인트를 클리어하면 스탬프 획득
•
탐험 기록은 자동으로 ‘스탬프북’에 저장
•
이후 다른 유저들과 공유하거나, 쿠폰 등의 보상 시스템과 연동 가능
시연 영상 (Demo Video)
디자인 (Design)
핵심 기능 (Core Technology)
Frontend
[기술 스택]
•
Next.js React.js tailwindcss Tanstack Query vapor-ui
[핵심 기술]
•
GDS 디자인 시스템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UI를 구성했습니다.
•
Next.js의 서버 액션과 탠스택 쿼리의 조합을 사용하여 데이터 페칭 및 캐싱 로직을 구현했습니다.
•
geolocation API를 활용하여 지도상 명소의 위치 도달 여부를 판별했습니다.
•
google model viewer를 활용하여 3D모델을 AR 카메라로 증강시켰습니다.
Backend
[기술스택]
Spring boot 3.5.3, Spring Security 6.5.1, mysql 8.4.5
[핵심기술]
•
Spring Security Oauth2 + Jwt 기반으로 카카오, 구글 로그인을 구현하였습니다.
•
Layered Architecture 기반으로 개발하여 빠른 MVP 구현에 집중하였습니다.
Infrastructure
•
AWS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처를 구축하였습니다.
•
GitHub를 통해 형상관리를 진행하였습니다.
•
GitHub의 Backend/Frontend main 브랜치를 빌드할 수 있는 Jenkins pipeline을 구축하였습니다.
•
Jenkins에서 도커 이미지를 빌드하고 이미지를 생성하여 AWS S3에 배포합니다.
•
이후 ArgoCD에서 변경된 도커 이미지를 감지하여 k8s deployment 기반으로 롤링 업데이트 및 자동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진행합니다.
기대 효과 (Expectation)
소외된 지역 관광 분산
AR 미션을 읍·면 단위 ‘숨은 스팟’에 배치함으로써, 이용자의 주간 동선이 자연스럽게 분산됩니다.
지역 상권 활성화
관광 소비가 도심에서 읍·면으로 이동하면서 소규모 상권에도 실질적 매출이 상승되어 지역 균형 발전에 기여합니다.
MZ세대·패밀리 타깃 맞춤형 체험
AR 미션·포토 프레임·캐릭터 콜렉션은 기억에 남는 경험을 제공해 SNS 바이럴을 촉진합니다.
글로벌 AR 미션형 사례들은 방문 분산→경제효과→재방문까지 선순환을 입증했습니다.
고블락이 비슷한 구조를 제주에 적용하면, 관광 집중도 완화 + 지역 소득 다변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 입니다.